미국과 중국이 이틀간 진행된 무역 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발표하며, 5월 12일에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미국 측 협상 대표인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번 협상이 매우 생산적이었으며 중요한 무역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의 그리어 대표 역시 이번 합의가 빠르게 이루어진 점을 강조하며, 이는 양국 간 실제 이견이 생각만큼 크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측 협상 대표인 허리펑 부총리는 미국과의 협상이 건설적이었다고 진단하며, 양국이 중요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상 및 경제 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양국 간 일부 마찰은 불가피하지만, 이번 협상이 세계 경제에 더 많은 안정성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부 외신은 이번 협상 결과가 예상보다 긍정적이었다고 보도했으나, 양국이 실제로 관세를 얼마나 인하할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미국의 시장 개방 확대 요구 수준 역시 이번 협상의 중요한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기본 관세가 10% 이하로 인하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그는 철강, 알루미늄, 항공기 부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관세 없이 수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경제 지표 발표 및 연준 정책 방향
5월 13일에는 미국의 4월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은 4월 CPI가 전월 대비 상승하고, 연간 상승률은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근원 CPI 역시 전월 대비 상승하고, 연간 상승률은 전월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에도 불구하고 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지 않은 것은 수요 둔화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5월 15일에는 4월 소매 판매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며, 전월 대비 증가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연준 주요 인사들은 관세가 생산성을 저해하고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정책 대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요국 경제 및 정책 동향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5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평화 회담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NATO 회원국들과 만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방안을 논의할 계획입니다.
유럽중앙은행(ECB) 주요 인사들은 유로존의 인플레이션 둔화세를 고려하여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일부에서는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 금리 인하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습니다.
중국의 4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하락세를 이어가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4월 생산자 물가 역시 하락폭이 심화되었습니다.
일본 이시바 총리는 미국과의 조속한 무역 합의는 불필요하며, 미국 국내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협상에 임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전면적인 휴전에 합의했으나, 이후 양측은 휴전 합의 위반을 주장하며 갈등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융시장 주요 지표
- 주가: 미국 S&P500 지수는 경기 불안 심화로 주초 하락했으나,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에 낙폭을 축소하며 한 주를 마감했습니다. 유로 Stoxx600 지수는 글로벌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 등에 힘입어 소폭 상승했습니다.
- 환율: 달러화 지수는 4월 무역 적자 확대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유로화와 엔화는 소폭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대중 무역 협상 낙관론 확산 등으로 상승했으며, 독일 국채 금리도 미국 국채 시장의 영향을 받아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4월 물가 상승률 둔화… 연준 금리 인하 압박 완화 (3) | 2025.05.14 |
---|---|
미국과 중국, 대규모 관세 인하 합의… 글로벌 무역 정상화 기대감 확산 (2) | 2025.05.13 |
미국, 중국과 무역 협상 재개... 고율 관세 유지 속 난항 예상 (1) | 2025.05.11 |
미국, 영국과 무역 합의 체결… 중국과의 협상도 진전 기대 (7) | 2025.05.09 |
미국, 무역 협상 전략 변화…주요국과 협상 본격화 전망 (3)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