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월 FOMC 회의에서 금리 동결이 예상되는 가운데, 파월 의장의 매파적 기자회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연준 의장의 조기 해임 가능성을 일축하면서도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했습니다. 한편,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5월에 이어 6월에도 원유 생산량을 추가 증산하기로 합의했으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와의 휴전 가능성을 언급하며 동맹국들의 대러시아 압박을 촉구했습니다.

국제금융시장 동향

미국은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과 양호한 경제 지표 발표 등에 힘입어 주가가 상승하고, 달러화는 강세를, 금리는 상승세를 나타냈습니다.

  • 주가: 미국 S&P500 지수는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 부상 등으로 상승했으며, 유로 Stoxx600 지수 역시 글로벌 무역 긴장 완화 분위기 속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 환율: 달러화 지수는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완화 등으로 상승했으며, 유로화와 엔화는 주요국 통화 대비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축소되면서 상승했으며, 독일 국채 금리도 재정 지출 확대 전망 등에 따라 상승했습니다.

5월 FOMC 금리 동결 전망 및 파월 의장 매파적 발언 가능성

최근 발표된 4월 고용 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5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고 있습니다. 스왑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으며, 연준은 경기 둔화 우려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 속에서 양호한 실물 지표를 근거로 금리 동결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큽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 안정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며 파월 의장이 매파적인 기자회견을 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연준의 물가 안정 노력을 저해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 일축 및 금리 인하 압박

트럼프 대통령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파월 연준 의장을 임기 종료 전에 해임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을 '고집 센 사람'이라고 묘사하며 연준의 금리 인하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인상이 미국 경제를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며 최근 제기된 1분기 GDP 성장률 둔화 우려를 일축하고, 그 책임을 바이든 행정부에 돌렸습니다.

OPEC+, 원유 생산량 추가 증산 합의

석유수출국기구(OPEC)는 OPEC+ 8개국이 6월 원유 생산량을 일일 41.1만 배럴 추가 증산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5월에 이어 추가적인 증산 결정으로, 시장에서는 유가 하락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OPEC+ 소식통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할당량을 초과 생산하는 회원국에 대한 제재 차원에서 자발적 감산을 조기에 철회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와의 휴전 가능성 시사 및 동맹국 압박 촉구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체코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와의 휴전 가능성을 언급하며, 외교적 협상을 위해서는 최소 30일간의 무조건적인 휴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라나 동맹국들이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지 않으면 러시아가 전쟁 종식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시진핑 주석, 러시아 공식 방문 예정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승절 기념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5월 7일부터 10일까지 러시아를 공식 방문할 예정입니다. 크렘린궁은 성명을 통해 시진핑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양국 간 전략적 파트너십 발전 방안을 논의하고, 주요 양국 간 협력 문서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양국 정상회담에서는 포괄적 동반자 관계 및 전략적 상호 작용 발전 방안과 주요 국제 및 지역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예멘 후티 반군, 이스라엘 공격

예멘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 벤구리온 국제공항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후티 반군과 이란에 대한 보복 공격을 경고했으며, 이스라엘 국방장관도 후티 반군을 향해 “누구든 이스라엘을 해치려는 자는 7배로 앙갚음당할 것”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했습니다. 이란 국방장관은 이스라엘이나 미국이 공격할 경우 반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도-파키스탄 갈등 고조

인도 정부는 카슈미르 총기 테러의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하고 고강도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인도 대외무역총국은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상품 수입을 금지한 데 이어, 해운총국은 파키스탄 국적 선박의 인도 항구 입항과 인도 국적 선박의 파키스탄 항구 입항을 금지했으며, 통신부는 파키스탄과의 우편 및 소포 교환을 중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고 있으나,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국경 지역에서 교전이 이어지고 있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